
효성중공업 사업보고서에서 부족한 설명을, 경쟁사 사업보고서를 통해 채워보고, 부족한 부분은 산업분석을 통해 채워보자. 효성중공업의 중공부문 매출액을 보면, 1Q22 /2,829억 2021/ 1,794,4억 임. 효성중공업의 주요 매출처는 한전/ 삼성엔지니어링/ 지멘스/삼성전자/두산중공업 등이 보임. 효성중공업 판매전략. 세계화 위해 고객사 다변화. 국내, 미국, 중동 중심. 일단 기준점 잡고 이따 아래서 경쟁사들과 비교해보자. 메가트렌드(Mega Trend)는 전기화(Electrification)로 최종 에너지 수요 내 전력사용 비중 증가, 탈탄소화(Decarbonization)를 위한 신재생/분산발전(Micro-Grid) 비중 확대 ESS, ICT 기술 활용 EMS, 마이크로 그리드 효중과 다르게 잘 ..

보고서 리뷰. 매번 하지만 오래 걸리고 뭘 봐야 할지 고민이 된다. 최대한 재무제표 행간의 변화와 그 흐름을 보려고 노력해 보자. 핵심 위주로 선택과 집중!! 김동우 → 양동기 양동기(건설PU), 요코타타케시(중공PU) 각자대표 체계. 다 일일 F/U 하면서 확인했던 내용. 분기단위 매출비중 의미 없음. 연단위를 쪼개서 인식하는 것, 하반기 대면 크게 올라감. YoY 비교를 해보자. 원재료 가격(구리는 비싼 기준)으로 당기 매입액을 나눠 KG을 비교했을 때 GO와 구리 모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아니 가격도 비싸지는데 왜 그렇게 많이 샀냐?? →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말. 전기본에 따른 하반기 전력설비 공급 일정에 따른 준비. → 공급보다 수요가 많다 → 공급자 우위 → 가격 전가 가능. 생..

오늘 휴가라 여유 있게 뉴스검색부터 루틴 돌리고 있었는데.. ???!! 갑분 수소법 개정안 통과?? 잠깐만.. 일단위 F/U 하면서, 5.3.까지만 해도 산자위 홈페이지에 올라왔던 회의 결과에는 수소법 개정안 관련 내용이 없었음. 그런데 5.4.날 또 회의 열었네~ 몰랐음. 5.4. 회의 열고 5.5. 올렸나보네.. 와 이거 선제적으로 알 수는 없는 건가?? @ 아니 5.5.날은 뭐하고 지금 5.6. 늦게 보고 뒷북 치는거냐?? → 공휴일에는 가족들과 보내야지 이싸람이 피도 눈물도 없는 사람이네 ~ㅋㅋㅋ마 나도 가장이라구~ 예상 반응을 고려한 자문자답은 이쯤에서 그만두고, 한번 개정안에 대해서 살펴보자. 이야~ 5.4. 회의 예정안이네. 아니 예정안 미리 올려야 하는 거 아님?? 참나 ㅋㅋㅋㅋ 아무튼 5..

장 마감 후 시간외 동시호가 장에서 효중의 연결 기준 잠정 실적 공정공시가 올라왔음. 이후 8분이 지나서 기업설명회(IR) 개최 안내공시가 올라왔음. YoY 2.8% 성장했으나 영업손실로 적자전환 했음. 당기순이익 역시 적자전환이며, 지배 순이익이 더 큰 적자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48.21% 지분의 연결기업인 진흥기업의 실적은 나름 선방한 것을 알 수 있음. @ 왜?? 저조한 실적을 굳이 미리 공개해야 했냐??? → 5.3~4 양일동안 이뤄질 IR을 위해 공정공시 사항임. 효중이는 매번 잠정실적 공시와 함께 IR을 개최했음. 루틴임. 스케줄링 매매 시 참고해야겠음. 이걸 놓치네... 1분기 저조한 실적은 미리 예상했지만, → 잠정실적 언제 나오겠지 → 개인들 투매 나오겠지 → 지금 보다 더 싸게 살 수..

보고서 리뷰를 통해 변화의 흐름을 파악해 보자. 추정 → 추가 확인할 부분은 @로 표시했다가 나중에 참고하여 주담 통화 하자. 당기 중 미국 판매 활성화를 위한 HICO 법인과 효성하이드로젠(액화수소 판매법인)을 취득함. 린데수소에너지(액화수소 생산법인)은 관계기업으로 포함됨. 사채 등 변동 없음. 21년도 주요 내용. 두중하고도 경쟁사 이면서 협력사. @ GO(방향성 전기강판), 구리 당기에 원가 크게 상승했던데, 제품 가격에 전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근거는?? CAPA 증가와 동시에 생산량 감소. 포인트는 그럼에도 마진율 상승. 미국향 지속 투자 전기 대비 연결과 별도를 비교하면 의미있는 해석을 얻을 수 있음. (위) 연결 기준으로 중공부문 1000억 이상 매출 증가했으나, (아래) 별도 기준..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 시장은 크게 기업들이 직접 구축한 데이터센터(온프레미스)와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주는 상업용(콜로케이션) 시장으로 나뉜다. 국내법에 따라 개인정보를 비롯한 민감 데이터는 국내 데이터센터에 보관돼야 하기 때문에, AWS(Amazon), Azure(Microsoft), Google 같은 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국내 업체들이 운영하는 데이터센터 공간을 빌려(콜로케이션) 국내에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및 OTT(Over-The-Top) 플랫폼의 데이터 양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센터 및 콜로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확대되어 기업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효성중공업의 기전PU가 담당하는 수소충전소 사업. 수소충전소 MS 1위 업체 답게, 수소 이슈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왔다. 기술 개발과 안정성 확보가 힘든 만큼 전기충전소보다 진입장벽이 높은 수소충전소 사업. 효성중공업에게 수소충전소 사업은 얼만큼 중요할까? 수소산업은 어느정도 성장성을 갖고 있을까? 효성중공업은 수소산업에서 어느정도 경쟁력을 갖고 있을까? 비전공자인 내가 수소산업을 얼마나 깊게 이해할 수 있을까? 효성중공업은 수소산업을 통해 내게 얼마만큼의 확신(확신 → 투자비중으로 연결)을 줄 수 있을까?? 나의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아보자. 그리고 확신의 크기에 따라 투자비중을 조정해 보자. (기술력 , 강점, 공급 , 실적) [2000] * 압축천연가스(CNG) 충전시스템 사업 진출 ..

내가 지금 알고있는 정보는 1] 효성중공업이 2012.12. 전압형 HVDC 기술 개발을 위한 국책과제 개발자 선정 당시 국내 풍력사업의 선두주자 였고, 5MW급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을 앞두고 있었음. 2] 글로벌 풍력 2위 업체 중국의 Goldwind와 MOU를 맺은 적이 있음. 3] SE윈드와 JV를 통해 확보한 8.5MW급 모델에 대해 KS인증 획득을 진행 중임. 정도인데, 역시 확 와닿지 않는다. 좀 더 공부해 보도록 하자. 산업통상자원부의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0~2034) 부터 시작해 보자.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량은 단기(22년) 29.4GW 장기(34년) 77.8GW 34년 목표량 77.8GW 기준 풍력은 24.8GW로 31.8%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발전량을 표시한 T..

STATCOM 너는 무엇이냐? 이전 포스팅에서 유연송전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을 공부할 때 나왔으니, 전기 흐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데 관련된 설비겠지~ 생각하고 공부에 들어가 보자.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은 계통전압 제어를 목적으로 무효전력을 전력계통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력인버터로 구성된 전력전자장치이다. 이러한 반도체 스위칭 소자는 기존의 기계적 제어 장치의 한계를 극복하여 무효 전력을 줄이고 시스템 장애에 대한 안정성을 높였음.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어 각 가정에 도착하기까지 전류의 방향은 계속 변함. 이 과정에서 전류가 흘러도 실제로는 아무런 일을 하지 않는 무..

이전 3Q21 Review와 함께 진행한 NDR에서 * 국내 9차 송변전 계획 상 계통신뢰도 유지를 위해 2023년까지 ESS 1.4GW 증설. 동사는 과거 ESS로 연간 3천억원의 매출 기록 이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공부해보도록 하자. 한국전력공사는 21.9.30.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장기 송변전설비계획(2020~2034)을 발표했다 지난 8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은 2018.8.31. 발표했으며, 2017~2031년까지의 계획이었음. 9차 계획의 목표는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수요자·환경 중심의 안정적 전력계통 구축 이다. 계획 수립 방향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1. 전력계통 신뢰도 확보 및 송변전설비 적기 확충 2. 재생e 적기 연계를 위한 계통 수용능력 확..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