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ㅡ글에 들어가기 앞서, 막상 밸류에이션을 평가하는 작업을 해보니, 미래에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추정이기 때문에, 주관이 많이 들어갈 수 밖에 없더라.
/또한, 매출액을 예상하더라도, 영업이익율과 법인세비용은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불가능하고, 한계가 있음이 느껴졌다.
/그냥. 일련의 과정을 재밌게 보시면서, 아 이렇게도 해보는구나~. 주주로써 마음이 크구나 생각해 주셨으면 좋겠다.
ㅡ적정주가인지 살펴보기 위해 자료를 만들어 봤다.
ㅡ하나씩 살펴보면, 매출액증가율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모습 보이나, 영업이익 및 순이익 증가율 은 감소하는 모습 보이며, EPS감소로 연결되고, 주가 기준 멀티플 56.82배의 모습을 보인다.
반응형
ㅡ21년 상반기 실적 단순*2로 2021(E)를 예측한게 적정할까? 그렇다면 2020년 기준으로 상반기, 하반기를 나누어 2020(E)를 예측해보면 2020(실제)실적과 얼마나 차이가 날까??
ㅡ2020년 상반기 기준 1분기 순이익 단순*4 계산시 멀티플 27배 보이며,
/2분기 기준 순이익 크게 상승하여 단순*4 계산시 멀티플 17배 보이며, 실적상승으로 인한 주가 함께 상승했음이 보이고,
/2020년 상반기 실적 단순*2 기준은 멀티플 23배로 보인다.
ㅡ2020년 하반기 기준 3분기 매출원가 상승으로 인한 당기순손실 단순*4 계산시 멀티플 -67배 보이며, 일회성이라 주가 크게 빠진 모습은 보이지 않으며,
/4분기 기준 당기순이익 전환했으나 2분기 대비 저조한 실적으로 주가는 하락한 것이 보이고,
/2020년 하반기 실적 단순*2 기준은 멀티플 75배로 보인다.
ㅡ실제 2020년 실적은 당기순이익 149억이며,
/2020상반기기준(E) 당기순이익은 228억, ----A
/2020하반기기준(E) 당기순이익은 68억,이며---B
/(A+B)/2 = 148억으로 실제 실적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ㅡ우리는 11탄 플라즈마편에서, 박사장님의 계획을 자세히 확인했었는데, 950억이라고 가정하자 하반기에.
2021.08.16 - [기업분석/다원시스] - 다원시스 자문자답 11탄. 플라즈마가 도대체 뭐가 좋다는거지??
ㅡA는 기존 상반기기준 *2 예상치고, B는 하반기 삼전향 플라즈마 반도체 전원장치 매출 반영, C는 B에서 영익율이 개선된 것으로 만들어 봤다.
/당기순이익을 위한 법인세 차감은 -15억(정확X) 해줬다
/C의 영익율 6.76%는 2018년도 기준 영익율(18~20년 기준 최고수치)를 반영했다.
ㅡA의 영익율을 보면, 상반기 기준 매출의 90%를 차지하는 철도부문의 마진이 얼마나 안나오는지 느껴지는데, 적자운영을 하는 철도공사에서 최저가입찰경쟁방식을 사용하므로써 한계가 보인다.
ㅡB기준 현주가 멀티플 44.64배로, 만약에 지금처럼 철도+반도체장비+BNCT+핵융합 기대감 등 모든 프리미엄을 합쳐 적정멀티플을 50배로 잡겠다 가정하면,
/B기준 EPS(443.54) * 50 = 22,170원으로 약간의 상승여력이 있다고 보이며,
ㅡC기준 현주가 멀티플 24.32배로, 멀티플 50배 계산하면,
/C기준 EPS(814.22)*50 = 40,711원으로 2배이상의 상승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ㅡ 자그러면, 다원메닥스 기대감도 반영해볼까??
2021.08.18 - [기업분석/다원시스] - 다원시스 기업분석 자문자답 13탄. 다원메닥스, BNCT ?? 얼마나 , 언제 좋다고?? 임상진행과정??
ㅡ13탄(위 링크)에서 봤듯이 스미토모사와 비슷하게 시간이 소요된다는 가정대로라면, 2028년에나 매출이 발생하므로, 위에서 반도체 플라즈마 장비 매출반영과 같은식의 밸류에이션 시도는 의미가 없어 보이는데,
/그렇다면 22년 IPO했을 때 생기는 지분가치를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해보자.
2021.08.20 - [기업분석/다원시스] - 다원시스 분석 자문자답 15탄. 자회사야??관계회사야?? 뭐야?? 메닥스, 넥스뷰~
ㅡ일단 15탄(위 링크)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다원메닥스는 지분율 37.32%의 관계회사로 되어있다(21상반기보고서에)
/관계회사는 지분법손익이 잡히는데, 뭐 당분간 매출은 기대안하니까 IPO했을 때 달라지는게 있다면??
ㅡ대충 계산했을 때 예상시총 5000억 가정하고, 발행주식수로 나누면 주당 31,101원이고,
/보유주식 수 6백만주에 곱해주면 약 1866억의 자산가치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단 그냥 자산가치고, 이거 팔기 전에 수익인식 하지도 못하고, 매번 당기말 평가손익 인식도 안하는 거라서, 그냥 이렇게 가치가 있다는 거다.
/가치중심으로 밸류에이션에 반영을 해보자.
ㅡ아까 사용했던 플라즈마 매출발생 시나리오 기준 영업이익율을 가져왔다. 이번에는 법인세 구하기도 힘드니 신경쓰지 말고,
/위에서 구한 다원메닥스 IPO시 자산가치(E)1,866억에 할인율 60%(주관적인 할인율)를 곱하여 할인자산가치의 값을 구하고, 현 시총에서 빼줬다(공짜로 자산가치 얻는거니까 빼준다는 논리로)
/그 값을 시나리오별 영업이익으로 나누어 새로운 멀티플을 구해봤는데
/우리의 최고의 시나리오 E-3 의 현주가 대비 멀티플은 18.89배로, 적정멀티플이 50배라고 가정하면, 264%상승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19,800*2.64 = 52,272원이 된다.
ㅡ오늘 새롭게 밸류에이션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해봤는데, 제일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어려운 것 같다.
/그리고 내가 하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내용인가??' 끊임없이 질문하게 되는 작업인 것 같다.
ㅡ정리를 해보면,
/다원시스 철도사업 특성상 저조한 OPM 개선되는 모습 확인 필요하며,
/하반기 플라즈마 반도체장비 매출액과 OPM 체크 필요하고,
/22년 IPO 예정인 다원메닥스의 지분가치가 기업 밸류에이션에 반영되는지(나 말고 다른사람도 모두 동의 해야 가격이 오를테니)확인이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 확인 없이는 지금 주가 저평가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과거 관심기업 > 다원시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원시스 분석 자문자답. 2021 사업보고서 간단 리뷰. (1) | 2022.03.26 |
---|---|
다원시스 분석 자문자답25탄. 3Q21 실적 리뷰. 영업적자 이유와 앞으로의 방향성. 해결해야 할 문제. (0) | 2021.11.13 |
다원시스 분석 자문자답22탄. 다원시스 존 트레이시의 현금흐름표 분석. 기업의 상태는 성장기? 안정기? (0) | 2021.09.12 |
다원시스 분석 자문자답17탄. 자기주식 취득 결정. 뭐? 로윈? 합병? 뭐여?? 호재여 악재여? (0) | 2021.08.30 |
다원시스 분석 자문자답 16탄. 다원넥스뷰는 뭐하는데야?? 레이저?? (0) | 2021.08.22 |
댓글
250x250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